본문 바로가기

클라우드

(2)
[Azure Function] Azure Function 배포 문제 Outline우리 회사는 클라우드로 Azure를 사용한다. Azure Function을 배포하는 방법은 정말 많다. 문제는 기존 방식대로, 새로운 서비스를 Azure Function에 올리려고 하였는데, 동작하지 않았다.로컬에서는 디버깅하거나, 함수를 실행을 시켜도,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기능 상으로도 문제가 없는데, 배포만 하면 함수가 로드되지 않았다. 환경변수, 설정파일 등 많은 부분을 다시 확인했음에도 불구 하고, 동작하지 않았다.급한 대로, Azure Core tools를 이용해서 배포 하였고, 이를 정리하고자 한다. Spec문제가 발생한 Azure Function은 다음과 같다.python3.11host.jsonpython azure function v2 방식{ "version": "2.0", ..
[클라우드] AWS와 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어떻게 모든 EC2에 IPv4를 제공해줄까? 의문의 시작? 과거부터 "IPv4의 공간이 부족해서..." 이런 문장을 많이 접했다. 그래서 사설 IP 개념이 나온 것도 부족한 IPv4를 해결하는데 적합했다라는 내용도 많이 보았다. 그런데 아마존의 AWS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회사들은 IPv4를 통해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publish 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EC2를 할당 받아서 웹서버를 열면 IPv4 80번 포트로 접근하면 해당 웹서버에 요청을 보낼 수 있다. 의문이 들기 시작한다. IPv4 수가 부족한데, 몇 개나 생성될지 모르는 EC2(클라우드 컴퓨팅)에 하나하나 IPv4를 부여해준다고 ?!?!! 검색 전 나의 생각 1. IPv6 스타링크도 IPv6를 이용한 통신을 한다고 언뜻 들었다. 과거에 IPv6 통신 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