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ure Function] Azure Function 배포 문제
Outline우리 회사는 클라우드로 Azure를 사용한다. Azure Function을 배포하는 방법은 정말 많다. 문제는 기존 방식대로, 새로운 서비스를 Azure Function에 올리려고 하였는데, 동작하지 않았다.로컬에서는 디버깅하거나, 함수를 실행을 시켜도,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기능 상으로도 문제가 없는데, 배포만 하면 함수가 로드되지 않았다. 환경변수, 설정파일 등 많은 부분을 다시 확인했음에도 불구 하고, 동작하지 않았다.급한 대로, Azure Core tools를 이용해서 배포 하였고, 이를 정리하고자 한다. Spec문제가 발생한 Azure Function은 다음과 같다.python3.11host.jsonpython azure function v2 방식{ "version": "2.0", ..
디자인 패턴에 대한 스타트업 주니어의 생각
Outline스타트업의 주니어 개발자로서 개발을 하다가 느낀점을 요약한다.미래에 이 글을 봤을 때, 얼마나 바뀔지를 확인해본다. Contents현재의 나는 스타트업에서 백엔드 개발의 업무를 주로 맡고 있다. 인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실상 나 혼자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팀 내부에서의 협업과는 거리가 먼 상태이다. (프론트엔드 1명, 백엔드 1명) 디자인 패턴에 대해서는, 많이 듣기도 했고, 나름 학생때부터 신경 써왔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미래의 우리팀에 합류할 팀원들을 대비하여, 코드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적어도 그 사람들이 내가 작성한 코드를 보고, 난해하다를 느끼게 하고 싶지 않았다. 회사에서 업무를 하면서 느낀점은, 적절한 이유가 없이, 새로운 기술이여서, 인기가 있어서, 경험해보고..
Developer 로서 문제정의?
OutlineSoftware Engineer로서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고, 확장하고, 정의하는지 고민해본다. Contents문제정의란, 인터넷에 많은 정의가 있지만 결국은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을 인지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그리고, Developer로서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수립하고, 방법을 선택 후 그 방법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합한지 확인해야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정상적인 상황으로 해결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문제정의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모두가 다르다고 생각한다.회사의 상황(정책, 금전적, 비즈니스 모델)과 조직의 규모 그리고 팀장의 매니징에 대한 관점에 따라서 다를 것이고, 이 문제를 어느 관점에서 해결해야하는 가에 대한 입장에 따라서도 다를 것이다. 그러나, 결..
[python fastapi] Depends에 동적으로 parameter 사용하기
Why?코드의 깔끔함을 위해서, 조금 더 재사용성이 좋고, API에 명시적으로 권한을 보고 싶어서 진행. 본문fastapi에 Depends()를 이용해서, user를 판별하고 있었고, 특정 API 마다 접근 할 수 있는 role을 부여하고 싶었다.예를 들면, admin만 접근 할 수 있는 API라던지, 로그인 한 유저라면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는 API 라던지. 다만, 고려했던 사항은, router 내부에 코드를 추가하고 싶지 않았다. router의 Depends() 레벨에서 해결하고 싶었다. 아래는 간단하게 작성한, prototype code 이다.from fastapi import HTTPException, Depends, FastAPIfrom fastapi.security import OAuth2P..